경제는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분배, 소비하는 활동 모두를 말하는데, 재화(財貨.Goods)란 경제학에서 사용 도는 소비 등을 통해 사람(소비자)들의 효용을 증가시킬 수 있는 형태를 가진 모든 것을 의미한다. 물리적인 실체는 있으나 눈에 보이지 않는 공기나 전기와 같은 것도 포함되는 개념이다.
1. 한국의 반도체 수출비중
한국의 반도체 수출은 10년간 총 수출의 20%를 차지하는 최대수출품목이다. 그러나 22년 8월 이후 반도체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감소로 전환된 후 최근까지도 여타 품목에 비해 큰 폭의 감소세가 이어지면서 국내경기 둔화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올해 1월 대한상공회의소가 발간한 지속성장이니셔티브(SIG)보고서'반도체산업의 국내 경제 기여와 미래발전전략'에 다르면 반도체 수출이 10%감소하면 한국의 경제성장률은 0.64%포인트, 수출이 20%감소하면 경제성장률이 1.27%포인트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인도의 아유르베다(Ayurveda)
인도에서 시작된 고대전통 의학체계 중 하나로 질병을 치료하고 건강한 삶을 사는 생활양식, 노하우,치료법 등을 통칭하는 개념이다. 아유르는 고대 산스크리트어로 삶(Life)을 뜻하고, 베다(Veda)는 과학(science)을 의미한다. 글로벌 컨설팅사 Pwc에 다르면 인도에서는 아유르베다 2.0이라 불리며 이제는 단순히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전통치료법을 넘어서 사람들의 일상생활에 건강솔루션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서양의 일부 소비자들은 이를 새로운 대체의학으로 인식했고 아유르베다에서 중시하는 인간의 자연 치유력과 천연제품들이 관심을 받게 됐다. 아유르베다의 의료서비스는 신체의 활력을 회복하고, 면역력을 증진시키는 요가, 지압법,짐질 등의 전통요법으로 구성된다.
3. 수출시장 다변화
정부는 '3대 주력시장'으로 아세안, 미국, 중국을,' 3대 전략시장'으로 중동, 중남미, 유럽연합(EU)을 선정하고 각 지역별 맞춤형 수출지원 전략을 추진하기로 했다. 중국시장에서는 양국간 경제구조 '탈동조화(디커플링)'에나서기로 했고, 대중국 원자재 수입의존도를 낮춰 중국의 '자원무기화'에 대비한 방어막을 마련하기 위해 R&D 투자증개를 통해 소재,부품,장비 경쟁력을 강화할 방침이다.현재 중국은 한국의 전체 무역에서 25%를 차지한다.그래서 중국경제의 영향을 맣이 받고 있었다. 국제상황에 따른 변화를 수용하며 적극적으로 전략을 펼쳐야 할 것이다. 프렌드쇼어링(동맹국간 공급망 강화), 미국의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중동지역의'네음시티', 아랍에미리트(UAE)의 스마트 농업시장, 중남미 지역의 자유무역협정을 통한 이차잔지의 핵심인 리튬 수급 등 국익을 우선시 하여 외교경제로 수출 시장을 다변화 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