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용돈계약서
용돈은 '정해진 기간마다, 규착적으로 빋는 정해진 금액의 돈 그리고 스스로의 의사결정으로 관리하는 재량권을 갖는 돈'이며 대가없이 받는 돈으로 이전소득에 해당한다.계약서의 내용에는 기간,액수,지급날짜를 포함한다.
용돈계약서 1. 금액 : 0,000원 2. 지급일 : 매월 1일 또는 매주 일요일 부모000는 자녀000에게 용돈을 지정일에 현금 또는 통장으로 계좌이체 해준다. 용돈의 범위로 학용품, 군것질, 친구선물, 악세사리 등을 산다. 용돈기입장을 사용하여 용돈사용을 기록하면 보너스10%를 지급한다. 2023년6월7일 부모 000 (인) 자녀 000(인) |
2. 용돈기록장
용돈이란 특별한 목적을 갖지 않고 자유롭게 쓸 수 있는 돈으로 용돈 기록장은 날짜별로 수입과 지출내역을 적는 서식이다. 단순한 기록을 넘어 무엇이 필요하며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함고 인내하는 연습도 될 것이다. 적다보면 불필요한 소비도 줄 것이다.
(예시) (단위 : 원)
월/일,요일 | 내용 | 수입 | 지출 | 잔액 |
6/7, 수요일 | 이전소득 | 50,000 | 50,000 | |
노트1권 | 2500 | 47,500 | ||
지우개 1개 | 1,000 | 46,500 | ||
캔디 바 | ||||
3. 원칙과 일관성 유지.
용돈 문제에 관해서는 각자 옳다고 생각하는 대로 실행하는 것이 좋다. 소비, 저축, 투자, 기부 등 돈쓰는 영역을 체험하며 즐거움을 맛볼 수 있으니 어떻게 써야 한다고 틀을 정해 주는 것은 아이의 성향에 맞지 않을 수 있다. 경제교육이라고 반드시 니즈와 원츠를 구분해서 꼭 필요한 물건을 사도록 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때로는 소확행처럼 주어진 용돈 범위에서 자신의 취향과 의지대로 소비하는 경험도 좋을 듯 하다. 다만 어른들이 잊지 않고 제때에 용돈을 지급하는 것이 약속을 이행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교육이 될 것이다. 용돈을 매개로 가족이 모여 대화하고 미흡한 부분은 배워나가면 머지 않아 계획적인 소비를 하는 현명한 선택을 하고 있을 것이다.